알아두면 유용한 팁!

알아두면 쓸 데 많고 신박한 잡학 팁!

챗봇 관리자센터를 쓸 때 여러분의 노고를 덜어줄 아주 유용한 팁들을 대공개합니다. 엔티티와 발화를 작성하는 법부터, 나아가 나의 봇을 누군가와 함께 만들때 필요한 효율적 프로세스까지.

봇 제작의 A to Z가 바로 여기에 준비되어 있습니다.

자연어처리 로직 가볍게 이해하기

챗봇 관리자센터가 자연어 발화를 인식하는 방법을 아래 예시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발화문 패턴 인식 로직안에서는 봇 작업자가 등록한 발화 패턴안의 특정 단어에 { } 형태로 엔티티 태깅을 해두고 있습니다. 중괄호로 태깅된 부분은 발화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가 되며, 챗봇 관리자센터 내의 시스템 엔티티 또는 나만의 엔티티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계적으로는 이와 같이 패턴화된 형태 정보를 가지고, 사용자의 입력발화가 기 등록된 패턴에 맞게 들어왔다 아니다를 판단하게 되는것입니다.

챗봇 관리자센터의 자연어 인식 로직을 이해하고자할때, 봇 작업자가 참고해야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챗봇 사용자가 등록된 발화문과 동일하게 질문을 입력했다면, 그대로 해당 발화문이 포함된 블록이 실행됩니다.

  • 챗봇에 인입된 발화문이 사전에 패턴으로 정의해 둔 발화문과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예에서 {제주도}, {날씨} 엔티티 정보가 살아있는 이상, 날씨 알려달라는 의도를 큰 차이없이 추출해 냅니다.

  • 여기서, 과 같은 부사등은 크게 의도를 찾는데 중요한 정보가 아니므로, 패턴을 만드실 때 많이 집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챗봇 관리자센터안에 있는 형태소(우리말에서 의미를 갖는 최소의 단위) 분석기가 작동하면서, 크게 중요하지 않은 변형된 어미등은 원형을 추적하며 이해하고 있습니다.

엔티티 작성 팁

봇 작업자가 더욱 손쉽게 엔티티를 작성할 수 있는 팁을 알려드립니다. 이를 참고하면 챗봇의 응답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엔티티 신규 등록시 팁

엔티티를 한꺼번에 업로드할 때 팁

Step 1. 엔트리 파일 업로드 메뉴 클릭

엔트리 파일 업로드 메뉴 위치
업로드 대상 CSV파일 내에 기록된 엔트리 및 동의어 리스트 모습

Step 2. 파일 업로드 후, 아래와 같이 업로드된 사항 확인 완료

CSV파일 안의 엔티티들이 일괄 업로드 된 화면

발화문 작성 팁

봇 작업자가 발화문을 많이 등록하면 할수록 의도 추출 범위가 자연스럽게 넓어지게 되어, 봇 사용자의 입력 문의에 더욱 정확한 의도 추출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카카오 챗봇 관리자센터의 우리말 발화 인식이라는 개념을, 일반적으로 단순 키워드 매칭 방식의 완전 매칭(Exact-Matching) 원리로 오해하면, 챗봇 제작시 너무 많은 공수를 발화 등록 과정에 소모하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자 예상 발화를 효과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이러한 팁을 염두에 두고, 예상 발화문을 등록하면 모든 인입 예상 발화문을 처리하기 위해 불필요한 발화 문장 입력을 하는 실수와 노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봇 구현 표준 프로세스 맵

세상에서 가장 엣지있는 봇 만들기

봇 제작 준비부터 개발, 그리고 고도화까지의 여정

봇을 만드는 과정은 크게 4단계 준비-설계-구현-고도화(유지보수)로 이루어집니다. 봇 작업자가 개발을 전혀 모르더라도 이 4단계를 거치며 간단하고 의미있는 봇을 만들수 있습니다. 만약 봇 작업자가 개발자인 경우나 기획자와 개발자가 함께 협업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많은 사용자 응대 시나리오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응대력이 강화된 봇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