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제한 정책
Last updated
Last updated
카카오광고는 건전하고 가치 있는 광고 환경 조성을 위하여 카카오비즈니스 이용약관 및 카카오광고 서비스 운영정책에 따라 관련 법령 및 약관, 운영정책, 심사가이드 등에 따른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이용제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광고는 관계법령 및 이용약관, 심사가이드 등에서 규정한 정책을 위반하는 광고를 심사 및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 및 카카오광고의 정책에서 명시하는 가이드 및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위반 사항의 경중 및 횟수 등에 따라 경고(소명 요청), 광고게재 및 메시지 발송 중단, 광고계정 및 발신프로필 등의 서비스 이용제한, 집행계약 해지 및 광고계정 생성 제한 등의 이용제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이용제한 조치는 위반 활동의 누적 정도에 따라 한시적 제한에서 영구적 제한으로 단계적 제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관련 법령에서 금지하는 명백한 불법 행위나 긴급한 위험 또는 피해 차단이 요구되는 사안, 대외 리스크에 따라 긴급한 조치가 요구되는 사안 등에 대해서는 위반 활동 횟수의 누적 정도와 관계없이 즉시 상위의 이용제한 조치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용제한 처리되는 경우 관련 내용을 해당 광고주에게 안내해 드립니다.
긴급한 조치가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 조치 후 광고주에게 관련 내용을 사후 통보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광고는 관계법령 및 이용약관, 운영정책, 심사가이드, 카카오톡채널 가이드 등 위반에 따른 이용제한 조치를 받은 경우, 이용제한 사유를 확인하신 후 카카오광고의 요청에 따라 광고 소재 수정 또는 이용자 피해 예방을 위한 적절한 조치 등을 신속히 처리해야 하며, 필요시 이용제한에 대한 이의신청, 소명을 위한 증빙 자료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 서비스 이용제한 사유 확인 경로
1) 소재 제한
운영중인 소재가 정책 위반으로 모니터링 보류된 경우 이메일, SMS 혹은 카카오톡을 통해 알림메시지가 발송되며, 광고 관리자센터 로그인 후 아래 메뉴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로] 광고계정 > 대시보드 > 소재 > 보류 [사유] 확인
2) 서비스 이용제한 (광고계정 관리자정지, 광고계정 생성 제한 등)
운영정책 및 심사가이드 등을 고의적 및 반복적으로 위반하거나 타의 명의 또는 결제수단을 도용하는 경우, 광고집행비용의 지급을 고의적으로 회피하는 경우 등 주요 정책을 위반하는 사유로 광고계정 관리자정지, 광고계정 생성 제한 등 서비스 이용제한 조치를 받은 경우 아래의 경로를 통해 관리자정지 사유 및 이의신청, 소명 자료를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 [경로] 광고계정 > 좌측 광고계정 메뉴 > 상태 클릭 > 팝업창 내 사유 확인
📍 이의신청 및 소명 접수 경로
1) 상담톡 : > 상담 연결 2) 문의하기: > 광고 (해당 광고서비스 선택) > 문의하기 3) 문의게시판 : 각 광고 관리자센터 > 문의게시판
1) 문의하기 : kakao 고객센터 > 카카오톡채널 관리자 > '문의하기' > 문의 분류: 신고/모니터링 > 제재 해제 문의 2) 문의게시판 :> 문의게시판
1) 상품 이슈 : 카카오커머스 안전거래센터 2) 상품 외 광고운영 이슈 : 이메일발송